아이의 학습을 돕는 방법, 비고츠키의 사회적 상호작용론
안녕하세요. 혹시 아이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돕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사람의 효과적인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가장 대표적인 인지발달 이론이 바로 비고츠키가 제시한 사회적 상호작용론입니다. 그럼 바로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 사회적 상호작용론
비고츠키(Lev Vygotsky, 1896~1934)
- 비고츠키는 러시아 제정 벨라루스에서 출생
- 어린 시절 소크라테스 문답법으로 교육을 받아 기존의 사고방식에 도전하는 교육 경험을 통해 인지발달이 언어와 개인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을 펼침
- 그의 저서는 러시아어로 출간되었기 때문에 그가 죽은 지 약 30년 후인 1962년부터 발달심리학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함.
1. 특징
비고츠키는 아동의 인지발달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할 때 빠르게 발달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그는 인간을 이해할 때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피아제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적 불평형을 경험하며, 동화와 조절을 통해 해결한다고 주장한다면, 비고츠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직접적인 요인이라고 말합니다.
특히 비고츠키는 언어 습득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크게 촉진한다는 점에서 인지발달을 불러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언어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이 과정을 통해 아동은 인류가 수년 천에 걸쳐 축적한 지식과 문화유산을 내면화합니다. 또한 언어는 그 자체로 개인의 생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세계를 이해하는 인식의 도구로서 아동의 발달을 촉진합니다.
2. 비고츠키의 언어 개념
1) 자기중심적 언어
피아제는 아동의 자기중심성을 전조작기의 미성숙한 발달로 인해 나타나는 특성으로 보았습니다. 반면에 비고츠키는 자기중심적 언어를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의 도구로 보았습니다. 아동은 사고와 언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발달시키는데, 자기중심적 언어와 같이 사고를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언어와 사고를 통합을 이뤄냅니다.
2) 내적 언어(inner speech)
내적 언어는 아동이 문제 해결을 위해 마음속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말합니다. 자기중심적 언어는 점차 내적 언어로 발달하는데, 아동은 자동적으로 언어를 자기 생각을 조절하는 도구로 사용합니다.
3. 문화와 인지발달
비고츠키가 말하는 문화는 아동을 둘러싼 상황적 맥락 모두 일컫는 개념입니다. 아동을 둘러싼 주변 환경 역시 아동의 발달을 촉진합니다. 비고츠키는 이와 관련하여 ‘근접발달영역’과 ‘비계’, ‘역동적 평가’라는 개념을 도입합니다.
1) 근접발달영역(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근접 발달 영역은 아동이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지만 조력자와 함께 수행하면 성공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조력자는 아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단서를 제공하거나 문제를 해결에 필요한 사항을 기억하도록 격려합니다. 아동은 자신이 숙달해야 하는 각각의 과제에 대해 근접발달영역을 갖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조력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있어야만 근접발달영역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비고츠키가 정의한 근접발달영역의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타인의 도움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재 발달 단계와 성인의 안내나 보다 우수한 동료와의 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단계 사이의 거리”
2) 비계(Scaffolding, 발판, 상호적인 교수지원)
스케폴딩은 ‘발판’이라는 뜻입니다. 아동이 키가 작아서 손에 닿지 않는 물건을 잡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비계는 아동이 밟고 올라가서 원하는 것을 쥘 수 있도록 제공하는 교육적 장치입니다. 아동에게 혼자 힘으로 수행할 수 없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공했을 때, 그것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교수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비계는 아동이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한시적 조력을 의미합니다.
비계의 유형 | 예시 |
모델링 | 새로운 실험 도구를 사용하기 이전에 교사가 시범을 보인다. |
질문 | 수업 도입부에 학습 목표와 관련된 질문을 던짐으로써 학습 내용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자료 수정 | 휠체어를 탄 학생의 자유투 수행평가를 위해 농구 골대의 높이를 조정한다. |
소리 내어 생각하기 | 교사가 모든 과정을 소리 내면서 문제를 해결한다. |
단서 제공 | 학생이 문제를 해결할 때 필요한 판서 내용을 눈짓으로 알려준다. |
3) 역동적 평가(Dynamic assessment)
전통적인 지필 평가는 교사가 학생에게 시험지를 배부하고 학생은 조용한 공간에서 자신과의 싸움을 하는 평가입니다. 전통적 평가는 주로 피평가자의 현재 발달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면에 비고츠키가 말하는 역동적 평가는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발생하는 평가입니다. 비고츠키는 아동이 성인의 도움을 받아 근접발달영역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평가도 성인의 도움이 주어질 때 아동이 얼마나 수행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역동적 평가는 학생들이 이미 배운 내용을 혼자서 수행하는 평가가 아니라, 새로운 과제를 평가자의 도움을 받아 얼마만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평가입니다.
비고츠키의 역동적 평가를 마지막으로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을 모두 다뤘습니다. 이 이론은 곱씹을수록 정교하다고 느껴지는데, 일상생활에 적용해 보았을 때 굉장히 타당한 이론과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과와 서재
공부 끝.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지능이란 무엇인가? 삼원지능이론 (0) | 2022.12.19 |
---|---|
지능의 종류를 알아보자.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0) | 2022.12.19 |
뇌는 어떻게 정보를 처리할까? 정보처리이론 (1) | 2022.12.19 |
어떤 학습 방법이 적절할까? 장독립형과 장의존형 (2) | 2022.12.13 |
학습이 발생하는 원리, 강화와 벌 그리고 소거 (0)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