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동주의에서는 사람에게 학습이 일어나는 몇 가지 대표적인 원리를 제시합니다. 그 중 하나가 학습이 어떤 행동 이후에 주어지는 강화와 벌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키너가 제시한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는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후 행동주의의 대표 이론으로 언급됩니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에 대해 궁금한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tea-books.tistory.com/125
고전적 조건화 - 파블로프(Pavlov)
고전적 조건화 - 파블로프(Pavlov)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행동주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초기 행동주의를 발전시킨 파블로프의 이론을 중심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관련 개념
tea-books.tistory.com
그럼 바로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 스키너(B. F. Skinner, 1904-1990)
스키너는 원래 글쓰는 것을 꿈꾸는 작가 지망생이었습니다. 하지만 파블로프의 연구와 행동주의 심리학자 왓슨의 연구를 접하고 그의 학술 분야를 완전히 바꾸었습니다. 그는 미네소타 대학과 인디애나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하버드 대학의 교수가 되었습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비둘기가 폭탄을 유도하도록 비둘기를 훈련시키는 프로젝트부터 행동주의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학술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 결과 스키너가 제안한 원리에 입각한 컴퓨터 학습 프로그램도 수없이 많이 개발되었습니다. 스키너는 죽기 직전까지 조작적 조건화를 일상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정도로 이 분야에 대한 깊고 지속적인 애정을 보였습니다.
# 조작적 조건화
1. 개념
조작적 조건화란 특정 행동 뒤에 수반하는 결과에 따라 행동이 증거하거나 감소하는 방향으로 대상을 학습시키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2. 고전적 조건화 vs 조작적 조건화
파블로프가 말한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는 학습자의 정서적, 생리적 측면의 학습을 설명합니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는 학습자의 의지가 개입되지 않는 비자발적 학습을 설명할 때 유용한 이론입니다.
반면에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는 학습이 단순히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스키너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습 상황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적 선택이 필요하며, 학교에서 배우게되는 고차원적 학습 내용에는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습니다. 즉 고전적 조건화가 행동을 학습하기 위해 자극에 관심을 두는 반면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는 행동 이후에 나타나는 결과에 집중합니다.
3. 스키너박스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화 실험을 위해 스키너 박스를 고안했습니다. 스키너 박스에는 지렛대가 하나 있고,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스키너는 상자에 쥐를 넣어 두었습니다. 쥐는 활동하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르고 음식이 떨어지는 것을 발견합니다. 쥐가 지렛대를 누르면 자신이 좋아하는 간식이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부터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급격히 증가합니다. 스키너는 행동 이후의 긍정적 결과에 따라 행동이 증가하는 형상을 강화(Reinforcement)라는 용어로 설명합니다.
# 강화
1. 개념
강화란 조작적 조건화의 핵심 개념으로, 행동 뒤에 긍정적 결과를 제시하여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2. 유형
강화는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후속 결과의 유형에 따라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로 나눌 수 있습니다. 행동 후에 주어진 결과로 인해 행동이 증가했다면 강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적’이라는 용어는 행동 후 특정 결과를 주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부적’이라는 용어는 행동 후 특정 결과를 제거했다는 것을 말합니다.
- 정적 강화는 학습자가 특정 행동을 한 후에 만족할만한 긍정적 결과, 즉 정적 강화물을 제공하여 의도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채소를 싫어하는 아동이 시금치를 먹는 상황에서 부모님이 하는 칭찬은 채소를 먹는 행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한 긍정적 결과이므로 정적 강화에 해당합니다.
- 부적 강화는 학습자가 특정 행동을 한 후 싫어할만한 부정적 결과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의도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숙제를 모두 해 온 학생에게 청소를 면제해 주는 것은 숙제를 해오는 행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부정적 결과인 청소를 제거하여 주었기 때문에 부정 강화에 해당합니다.
# 벌
1. 개념
벌은 강화와 상반되는 개념으로, 특정 행동 후에 부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여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2. 유형
강화와 마찬가지로 벌도 정적 벌(수여성 벌)과 부적(제거성 벌) 벌이 존재합니다.
- 정적 벌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 학습자가 싫어하는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적 벌은 효과가 즉각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벌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많기 때문에 최대한 사용을 지양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교실 바닥에 침을 뱉는 학생에게 내리는 체벌은 정적 벌의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인 침 뱉기를 줄이기 위해 부정적 결과인 체벌을 제시했기 때문입니다.
- 부적 벌은 특정 행동을 한 후 학습자가 좋아하는 어떤 것을 제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약화시키거나 빈도를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부적 벌의 개념은 종종 부적 강화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둘의 공통점은 대상의 행동 후 무언가를 제거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그 결과로 인해 행동이 줄어든다면 그것은 벌이 되고, 행동이 늘어난다면 그것은 강화가 됩니다. 부적 벌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학생이 욕을 하는 행동을 줄이기 위해 욕을 할 때마다 용돈을 1,000원씩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는 부적 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욕하는 행동 이후에 대상에게 긍정적 요소인 용돈을 일부 제거하여 행동 빈도를 줄이기 때문입니다.
분류 | 강화물 | ||
긍정적 강화물(쾌자극) | 부정적 강화물(불쾌자극) | ||
제시 방법 | 제공 + | 정적 강화 | 종족 벌(수여성 벌) |
제거 - | 부적 벌(제거성 벌) | 부적 강화 |
# 소거(extinction)
스키너가 말하는 소거는 파블로프가 제시한 소거와는 다릅니다. 파블로프가 주장한 소거는 무조건자극 없이 조건자극만 제공하여 조건반응의 발생을 막는 방법입니다. 반면에 스키너가 주장한 소거는 강화에 의해 유지되던 행동에 대해 더 이상 강화물을 제공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행동을 제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파블로프의 소거가 행동 이전에 나타나는 특정 자극을 제거하여 행동의 발생을 막았다면 스키너의 소거는 행동 이후에 제시되는 강화물을 제거하여 행동의 발생을 줄인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스키너의 소거 과정에는 소거폭발과 자발적 회복이라는 눈에 띄는 특징이 있습니다.
1) 소거폭발
소거폭발이란 강화의 제거 이후에 일시적으로 행동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 아동의 문제행동은 크게 소리를 지르는 행동이다.
- 그 행동은 부모의 관심(강화물)을 받기 위한 것이다.
- 이 행동을 소거하기 위해 더 이상 강화물을 제공하지 않는다. 즉 소리를 질러도 아이에게 관심을 주지 않는는 방법을 사용한다.
- 아동은 부모의 관심을 얻기 위해 소리를 지른다. 하지만 소리를 질러도 부모가 관심을 주지 않자, 더 큰소리로 여러 번 소리를 지른다.
위의 경우에 아동이 소리지르는 행동에 강화물을 제공하지 않았을 때 폭발적으로 아동의 소리지르는 행동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했는데, 이 현상을 소거폭발이라고 합니다.
2) 자발적 회복
자발적 회복이란 소거가 완료되어 행동이 발생하지 않다가,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다시 제거된 행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상으로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에 대한 내용을 모두 다루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조작적 조건화의 개념뿐만 아니라 강화, 벌, 소거 등의 관련 개념도 함께 다루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과와 서재
공부 끝.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는 어떻게 정보를 처리할까? 정보처리이론 (1) | 2022.12.19 |
---|---|
어떤 학습 방법이 적절할까? 장독립형과 장의존형 (2) | 2022.12.13 |
공포증이 생기는 이유, 고전적 조건화와 파블로프의 개 (0) | 2022.12.08 |
창의적인 사람이 되는 방법, 창의성은 무엇일까? (0) | 2022.12.01 |
나는 도덕적인 사람인가? 도덕성 발달 단계 (0) | 2022.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