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절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표절과 위조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표절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에 참 연예인들 및 사회의 각종 공인들의 표절의혹이 심심치 않게 뉴스에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뉴스에서등장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의도적으로 표절을 한 후 그 사실을 숨겼다는 점에서 사람들에게 충격을 줍니다. 그러나 사실 고의적으로 특정 목적을 갖고 표절을 하는 질 나쁜 사람도 있지만, 표절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표절을 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표절에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위조와의 차이점도 다뤄보겠습니다.
우리는 왜, 무엇을 목적으로 글을 쓰는 것일까요? 삶의 양식이나 직업군마다 다르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은행계좌 만들기, 우편물 붙이기 등 생활에 필요한 글쓰기 외에는 거의 글을 쓰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쓰기는 언어, 문화, 사회경제 모든 삶의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그 필요성을 설명할 필요가 없을 만큼 당위적입니다.
#. 표절이란
표절이란 타인의 창작물, 기록물, 연구 과정 및 결과 등을 적절한 인용 표시 없이 도용하는 행위로써 다음의 행위를 포함합니다.
-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자신의 것처럼 이용함
- 타인의 표현이나 아이디어를 출처 표시 없이 사용함
- 사진, 그림, 표 등을 허락 없이 사용함
- 자신의 저작물이라고 하더라도 출전을 밝히지 않고 상당 부분을 그대로 인용함
#. 위조와 변조
위조란 존재하지 않은 자료나 연구의 결과물을 허위로 만들어 내는 것, 또는 그것을 허위로 기록하거나 보고하는 행위입니다.
변조란 연구 및 논문과 관련된 자료, 장비, 과정 등을 조작하는 행위. 자료 또는 결과를 변경하거나 누락시키는 행위를 포함합니다.
** 위조, 변조, 표절을 막기 위한 방법: 주석, 인용, 참고 문헌 작성하는 법을 다음 포스팅에서 다룹니다.
출처 표기법 [참고문헌, 주석, 인용 표기법], APA 스타일 출처 표기법
출처 표기법 [참고문헌, 주석, 인용 표기법], APA 스타일 출처 표기법 최근에 연예인, 정치인 할 것 없이 인터넷에 ‘표절’이라는 단어만 검색하면 수백 수천개의 뉴스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그
tea-books.tistory.com
#. 글쓰기의 목적
1) 자기의 생각과 방침을 다른 대상에게 전달함.
2) 자신의 사상과 활동을 기록하고 보존함.
3) 자신과 관계, 사회의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대리함.
4)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과정을 거쳐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고 그것을 타인에게 소개함.
5) 문서를 작성하여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고 알리는 실용적 도구로 활용함.
우리는 위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글을 씁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충분한 사유를 거치지 않은 비도덕적인 창작물을 작성하기도 하고, 남에게 피해를 주기 위한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공격적인 글을 게시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예로 연예인들에 대한 수많은 악성 댓글 사례와 비극적인 결과를 가장 직관적으로 떠올릴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공유하는 것의 영향력은 누구도 가늠할 수 없습니다. 때로는 누구도 관심을 주지 않지만, 때로는 날붙이가 되기도 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비윤리적 글쓰기를 경계하고 윤리의 틀 안에서 글을 써야하는 이유입니다.
#. 흔히 범하는 비윤리적 글쓰기 유형
1. 악성댓글
악성 댓글은 특정 온라인 포스팅에 대해 상대방에 대한 욕설이나 무책임한 비방을 담은 짧은 글입니다. 댓글 자체는 활발한 토론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기도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인격적인 상처를 남길 수도 있고, 여론을 조작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2. 무임승차
무임승차는 팀 과제를 할 때 공동의 이익에 기여하지 않으면서, 다른 팀원의 수행 결과를 함께 공유받는 것을 말합니다.
3. 전문 도용
전문 도용이란 여러 문서의 일부를 모아 짜깁기 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문서를 복사 붙여넣기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 밖에도 자신의 글을 출전 없이 복사해서 사용하는 자기복제, 같은 글을 이곳저곳에 제출하는 중복 제출, 표절, 자료 위조, 자료 변조 등이 있습니다.
#. 비윤리적 글쓰기 원인
(1) 이전의 잘못된 학습 태도: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학술적 근거가 없는 여러 가지 자료를 활용하여 짧은 시간 안에 과제를 처리하는 것이 습관화되었기 때문
(2) 공포, 불안 등으로 인한 자신감 결핍: 자신의 글과 창작물이 미숙하거나 완성도가 있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에 다른 글의 의견을 대신 활용하여 자신의 결과물을 만들어 냄.
#. 윤리적 글쓰기를 위해 고려할 사항
1) 학술적 신빙성이 낮거나 부정확한 자료를 포함하지 않기
2) 자신도 반박하기 어려운 반론이 있을 때라도 숨기지 않기
3)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을 희화화하는 등 공격하지 않기
4)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기 위해 반대 의견을 고의로 왜곡하지 않기
5) 의도적으로 독자들의 이해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지 않기
다과와 서재
공부 끝.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와 어휘의 차이.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차이. (0) | 2022.02.11 |
---|---|
정의하는 방법. 글의 전개방식 및 서술방식. (0) | 2022.01.13 |
좋은 글을 쓰는 방법. 글을 쓰는 일반적인 과정. (0) | 2022.01.12 |
출처 표기법 [참고문헌, 주석, 인용 표기법], APA 스타일 출처 표기법 (0) | 2022.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