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출처 표기법 [참고문헌, 주석, 인용 표기법], APA 스타일 출처 표기법

by 벌레책 2022. 1. 7.

출처 표기법 [참고문헌, 주석, 인용 표기법], APA 스타일 출처 표기법

  최근에 연예인, 정치인 할 것 없이 인터넷에 표절이라는 단어만 검색하면 수백 수천개의 뉴스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비윤리적 글쓰기 문화가 암묵적으로 용인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이 되어있다는 뜻이겠지요? 이것을 노리고 위조, 변조, 표절 등을 통해 자신의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면, 적발되었을 때 강한 처발을 받는 것이 마땅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출처 방법에 대한 무지로 인해 나쁜 의도 없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의 결과물이 표절로 밝혀지는 경우는 생겨서는 안 되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표절, 위조, 변조 등 비윤리적 글쓰기를 방지하기 위해 출처 표기법[주석다는 법, 인용하는 법, 참고문헌 출처 밝히는 법]과 APA스타일의 출처 표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출처-표기법-표지
출처표기법 표지

#1. 주석다는 법

1) 주석: 형식을 갖춘 글을 쓸 때 인용한 부분의 출처를 밝히거나 본문 내용을 보충하기 위해 쓰는 짧은 문구

2) 주석의 종류

주석의 종류
기능과 성격에 따라 참조주 인용, 출처 등 자료의 기본 정보를 제시함
내용주 본문에 포함되기 어려운 내용을 따로 보충함
형태에 따라 각주 페이지 하단에 인용 정보 제시
내주 본문 중간에 괄호를 사용하여 자료에 대한 간략한 정보 제시
미주 목차에 따라 장(챕터)의 마지막이나 글의 마지막에 일괄적으로 인용 정보 제시

3) 주석 작성법

  (1) 일반 저서: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 출판 연도, 인용 면수

  예시: 다과와 서재, 윤리적 글쓰기 방법, 서재출판사, 2022, 5p.

  (2) 학술 논문: 저자명, 논문 제목, 게재지 명 권, 호수, 발행처, 발행연도, 인용면수

  예시: 다과와 서재, 45권 표절 근절 논문, 여름 호, 서재출판사, 2022, 5p.

 

**책명(저서명) >> 『저서명』 또는 《저서명》 사용

**논문명 >>> 「논문명」 또는 〈논문명〉 사용

 

#2. 인용하는 법

1) 인용: 타인의 창작물이나 말에서 필요한 부분을 빌려쓰는 것

2) 인용의 종류 및 작성 방법

인용의 종류 및 작성 방법
직접인용 타인의 말이나 글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 - 인용 조사 ‘-()라도또는 하다의 활용형 하고를 사용함.

- 큰따옴표 (“-”) 또는 큰따옴표 속에 작은따옴표(“~ ‘-’ ~”)를 사용하여 표현함

- 예시
: 그는 말했다. “인생을 부정적으로 사는 사람들은 나는 뭘 해도 안 돼라고 자주 말한다.”라고.
간접인용 타인의 말이나 글을 자신의 말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 - 인용 조사 ‘-를 사용함

- 예시
: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고 하였다.

#3. 참고문헌 작성법

1) 참고문헌: 저서를 집필하거나 리포트를 작성할 때 핵심이 된 참고 자료에 대해 정확한 출처를 밝히는 것으로 글의 마지막에 작성함.

 

2) 참고문헌 작성 방법

참고문헌 작성 방법
일반저서 -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 출판 연도, 인용 면수

- 예시: 다과와 서재, 윤리적 글쓰기 방법, 서재출판사, 2022, 5p.
학술논문 - 필자명, 논문 제목, 게재지 명 권, 호수, 발행처, 발행연도, 인용면수

- 예시
: 다과와 서재, 45권 표절 근절 논문(여름 호), 서재출판사, 2022, 5p .

 

#4. APA 양식: 인용, 참고문헌 작성법

1) APA 양식: 미국심리학회(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가 정한 문헌 작성 양식. 특히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문헌 작성 방법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2) 작성 방법

** 마침표인지 쉼표인지 잘 보고 사용하세요 ^^

(1) 본문 내에 표시(내주) : (저자/단체, 연도)
- 저자가 여러 명인 경우 모두 기재함
- 기관 또는 단체인 경우는 기관/단체명을 기재
- 출판년도를 모를 경우: 영어-‘n.d.’/한국어-‘출판일 불명’
- 예시: (홍길동, Alex, 2022)

(2) 참고문헌(미주- 글 마지막에 표시):
- 단행본: 저자명(년도). 제목. 출판사.
- 학술지: 저자명(년도). 제목. 학회명, 권(호수), 페이지.
- 학위논문: 저자명(년도). 논문 제목. 학위, 대학원.
- 예시: 다과와서재(2022). APA 참고문헌 작성 방법. 박사학위 논문, 00대학원
- 국내 참고문헌은 자모순, 국외 참고문헌은 알파벳순으로 표기
- 공동 저자의 이름은 모두 표기
- 영문인 경우 저자명, 제목, 출판사의 첫 단어 첫 음절을 대문자로 표기. 단 정기간행물의 제목은 각 단어의 첫 음절을 대문자로 표기.

** 이 밖에도 APA양식의 원칙들이 참 많습니다. 논문을 직접 작성할 것이라면 APA양식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본 후 작성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주석, 인용, 참고문헌 등의 출처를 표기하는 방법과 APA스타일 출처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논문이나 학술자료를 보게되면 거의 100% 참고문헌 및 인용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개진합니다. 자신의 생각으로만 이루어진 완전한 순수 창작물이 갑자기 어디선가 툭하고 튀어나오는 것은 매우 어려울 뿐더러 그 내용이 신빙성을 갖고 받아들여지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만큼 힘들다는 말이겠죠. 그러니 욕심을 버리고 정당한 방법으로 출처를 표기하고 참고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겠죠?

 

 논문 또는 학술지와 싸우시는 모든 분들에게 좋은 결과 있으시길..건투를 빕니다 ^^   

다과와 서재 

공부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