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학 음운론 차이. 자음과 모음의 정의 및 종류.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자음과 모음을 음성학적 측면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음성학[자음과 모음의 정의와 종류 등]
- 음운론[음소 및 음운, 최소대립어, 음절 및 자음군, 음의 동화와 탈락 등
#1. 음성학
1. 음성학의 정의: 음성학이란 언어음의 특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합니다.
2. 음성학의 하위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조음 음성학(articulatory phonetics)은 말소리, 즉 음성이 만들어지는 조음 과정을 연구합니다.
- 청각 음성학(auditory phonetics)은 청자가 귀로 소리를 듣고 그것을 음성으로 파악하는 청각 과정을 연구합니다.
- 음향 음성학(acoustic phonetics)은 파형, 주파수 등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합니다. 음향 음성학에서는 말소리의 스펙트로그램을 분석합니다. 스펙트로그램이란 연속적인 소리의 파동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일종의 그래프입니다.
3. 조음기관
사람들은 성대의 모양과 긴장 상태를 조절하여 음의 높낮이가 다른 소리를 만들어 냅니다. 이때 말소리를 만들어 내는 데 관여하는 모든 기관을 조음 기관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혀, 성대, 구개, 비강, 후두 목젖 등이 모두 조음기관에 속합니다.
4. 음성의 종류: 자음과 모음
1) 정의
- 자음이란 공기가 폐로부터 나와 발음기관을 거쳐 입 밖으로 나갈 때, 그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를 의미합니다. 장애를 받는 위치(조음 위치)와 그 방식(조음 방식)에 따라 다양한 자음으로 구별됩니다.
- 모음이란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지 않을 때 나는 소리입니다. 혀의 위치나 입술에 모양에 따라 공기가 흘러나가는 통로의 모양이 바뀌면서 다양한 모음으로 분화됩니다.
2) 유성음과 무성음
- 유성음이란 성대가 닫혔을 때, 성대의 진동이 생기면서 만들어지는 소리를 의미합니다. 유성음을 발음할 때 목에 손을 대면 성대의 진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무성음이란 성대가 열려 있을 때, 아무런 방해 없이 통과하여 만들어진 소리를 의미합니다. 무성음을 발음할 때 목에 손을 대면 성대의 진동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3) 자음의 종류
자음의 종류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나뉩니다. 조음 위치에 따라서는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등으로 자음이 분화됩니다. 조음 방법에 따라서는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등으로 자음이 나뉩니다.
다음은 한국어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의 종류입니다.
조음위치 조음방법 |
양순음 | 치조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파열음 | -평음: ㅂ -경음: ㅃ -격음: ㅍ |
ㄷ ㄸ ㅌ |
ㄱ ㄲ ㅋ |
||
마찰음 | ㅅ ㅆ |
ㅎ | |||
파찰음 | ㅈ ㅉ ㅊ |
||||
비음 | ㅁ | ㄴ | ㅇ | ||
유음 | ㄹ |
*국제음성기호(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란, 음성학에서 연구를 목적으로 특정 개별 언어의 말소리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언어의 말소리를 다 적는 것을 목표로 고안된 만국 공통의 음성 부호를 의미합니다. 즉 국제음성기호는 위의 자음 분류 그래프에 한글 자음 소리뿐만 아니라 모든 언어의 자음 소리가 포함된 자음 기호의 모음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4) 모음의 종류
모음은 공기의 흐름이 비교적 방해받지 않고 생성되므로 유성음으로 분류됩니다. 모음의 분류는 혀의 전후 위치와 혀 의 높낮이 및 조음점에 의해 분류됩니다. 이를 쉬운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모음 사각도'입니다.
5) 단모음과 이중모음
단모음은 발음할 때 조음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어 모음 중에는 [ㅏ, ㅓ, ㅗ, ㅜ, ㅡ, ㅣ, ㅚ, ㅟ]가 있습니다. 이중모음은 발음할 때 한 모음의 조음 위치가 다른 모음의 조음 위치로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중모음은 보통 단모음에 반모음 [y], [w]가 더해져서 발음됩니다. 한국어 모음에서 이중모음은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l' 위치에서 시작하는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 'ㅗ, ㅜ' 위치에서 시작하는 이중모음: [ㅘ, ㅙ, ㅝ, ㅞ]
- 'ㅡ' 위치에서 시작하는 이중모음: [ㅢ]
6) 음운론의 필요성
음성학의 개별음의 미세한 조음 차이가 개개인의 말소리를 구별할 수 있게 하지만, 이런 음성적인 차이가 의미에 영향을 주어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기도 합니다. 말소리나 단어가 의미로 인식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음의 패턴을 연구하는 음운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2. 음운론
음운론(phonology)이란 개별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음의 체계와 언어의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음성학이 실제 과학적 물리적 조음 차원을 연구한다면, 음운론은 개별 언어의 사용, 의미 이해 등 언어의 심리적, 추상적 차원에 대해 연구합니다.
1. 음운, 음소, 변이음
- 음운이란 음운론에서 사용하는 기본 단위로서 음소와 운소를 합쳐서 부르는 말입니다. 운소는 언어의 초분절적 요소라고 불리는데, 언어의 억양, 높낮이, 장단 등을 의미합니다. 음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음소(phoneme)란 의미를 구별해 주는 각각의 음을 의미합니다. 음소의 가장 큰 특징은 음을 구별할 수 있는 변별적(분절적) 기능을 갖는다는 점입니다. 이 기능은 단어에서 어느 한 음소를 다른 음소로 대체했을 때 그 의미가 바뀐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종이'라는 단어의 /ㅈ/음소가 /ㅅ/으로 바뀐다면 단어의 의미가 '송이'로 바뀝니다. 그와 반대로 운소는 초분절적 요소입니다. 장단에 대해서는 일부 세대에서 예외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음의 높낮이, 억양 등의 변화로 단어의 의미가 변화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 변이음은 하나에 음소가 다양한 소리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언어 자체가 한 음소에 대해 다양한 변이음을 갖기도 하고, 사람들마다 발음의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변이음이 생기기도 합니다. 즉, 변이음을 바꾸면 같은 단어의 다른 발음이 될 뿐, 의미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음소를 바꾸면 발음뿐만 아니라 단어의 의미가 변화합니다. 예를 들어, '감기'의 /ㄱ/은 첫 음절 '감'에서는 [k]로 발음되지만, 뒤의 음절 '기'에서는 [g]로 발음됩니다.
2. 최소대립쌍(어)
최소대립쌍은 '액자'와 '책자'처럼 단어 쌍의 두 단어가 한 음소만 다르고 나머지는 같으면서 동시에 뜻이 다른 단어 쌍을 의미합니다. 위의 단어에서 /ㅇ/과 /ㅊ/은 변별적 또는 대립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변별자질
변별 자질(distinctive feature)이란 최소대립쌍의 두 단어가 다른 음소가 되도록 하는 음성 자질을 의미합니다. 정의만으로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우니 예를 들겠습니다. 앞의 예시 '액자'와 '책자'에서 /ㅇ/은 비음 /ㅊ/은 파찰음입니다. /ㅇ/은 비음(비음성+)이고 /ㅊ/은 비음이 아니므로(비음성-) 두 음소는 비음성이라는 변별 자질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4. 분절음과 비분절음
- 분절음이란 자음이나 모음처럼 일정한 경계가 있는 음운을 의미합니다.
- 비분절음(운율적 자질)이란 소리에 일정한 경계가 없는 음을 의미합니다. 음의 장단, 고저, 억양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5. 음의 동화와 탈락
- 음의 동화란 두 음소가 연속으로 제시될 때, 한 음소의 성격이 다른 음소와 닮은 성질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앓는'이라는 단어를 발음할 때 [알른]이라고 발음합니다. 앞 음절 '앓'의 /ㄹ/ 음소에 의해 뒤 음절의 /ㄴ/ 이 /ㄹ/로 바뀌었음으로 음이 동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유음인 /ㄹ/로 바뀌었으므로 유음화라고 부릅니다.
- 음의 탈락이란 단어를 발음할 때 한 분절음을 일상적 발음에서 생략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의 'and'를 발음할 때 /d/소리는 보통 발음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음성학과 음운론의 세부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과와 서재
공부 끝.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해석. 차자표기 종류 및 예시 (0) | 2022.02.16 |
---|---|
표음문자와 표의문자 비교. 상형문자와 설형문자. (0) | 2022.02.16 |
화용론이란? 화용론의 정의, 구성 요소 (0) | 2022.02.16 |
단어와 형태소의 차이. 단어의 구조 및 분석 (0) | 2022.02.16 |
언어는 어떻게 생기고 변화하고 소멸하는가? (0) | 2022.02.14 |
댓글